산업(産業)이란 인간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종사하는 생산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국내 모든 생산 주체들이 수행하는 각종 산업활동*을 분류 기준과 원칙에 맞춰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유형화) 것입니다.
* 각 생산 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 과정
즉, 동일 산업 분류는 유사한 성질(동질성)을 갖는 산업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 단위 (사업체, 기업체 등)의 집합(Group)을 나타냅니다.
ㅇ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법 제22조에 의거 통계작성기관이 동일한 기준에 따라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유엔(UN)이 권고하고 있는 국제표준산업분류를 기초로 통계청장이 작성한 통계목적의 분류입니다.
ㅇ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생산단위(사업체, 기업체)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입니다.
ㅇ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목적 이외에도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 관련 법령에서 산업영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습니다.
산업분류는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고 있는 산업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분류 기준에 의하여 적용됩니다.
1) 산출물(생산된 재화 또는 제공된 서비스)의 특성
- 산출물의 물리적 구성, 가공 단계, 수요처, 기능 및 용도
2) 투입물의 특성
- 원재료, 생산 공정, 생산기술 및 시설 등
3)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ㅇ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산업활동에 따라서 분류하며, 활동단위는 대분류를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합니다.
* 주된 산업활동은 사업체에서 복합적인 산업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생산된 재화 또는 제공된 서비스 중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많이 창출되는 활동(산업 대분류부터 순차적으로 우선 집계하여 적용)을 말하며, 부가가치의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산출액 또는 종사자 수, 노동시간, 임금, 설비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ㅇ 분류구조는 대분류(1자리, 영문대문자) 21개, 중분류(2자리 숫자) 77개, 소분류(3자리 숫자) 234개, 세분류(4자리 숫자) 501개, 세세분류(5자리 숫자) 1,205개로 총5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
10차 | 11차 | 10차 | 11차 | 10차 | 11차 | 10차 | 11차 | |
A. 농업, 임업 및 어업 | 3 | 3 | 8 | 8 | 21 | 21 | 34 | 33 |
B. 광업 | 4 | 4 | 7 | 7 | 10 | 10 | 11 | 11 |
C. 제조업 | 25 | 25 | 85 | 85 | 183 | 182 | 477 | 480 |
D. 전기,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1 | 1 | 3 | 3 | 5 | 5 | 9 | 10 |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4 | 4 | 6 | 6 | 14 | 14 | 19 | 19 |
F. 건설업 | 2 | 2 | 8 | 8 | 15 | 16 | 45 | 46 |
G. 도매 및 소매업 | 3 | 3 | 20 | 20 | 61 | 62 | 184 | 186 |
H. 운수 및 창고업 | 4 | 4 | 11 | 11 | 19 | 19 | 48 | 47 |
I. 숙박 및 음식점업 | 2 | 2 | 4 | 4 | 9 | 11 | 29 | 30 |
J. 정보통신업 | 6 | 6 | 11 | 12 | 24 | 26 | 42 | 45 |
K. 금융 및 보험업 | 3 | 3 | 8 | 8 | 15 | 14 | 32 | 29 |
L. 부동산업 | 1 | 1 | 2 | 2 | 4 | 4 | 11 | 12 |
M.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4 | 4 | 14 | 14 | 20 | 20 | 51 | 50 |
N.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3 | 3 | 11 | 11 | 22 | 22 | 32 | 32 |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 1 | 1 | 5 | 6 | 8 | 10 | 25 | 28 |
P. 교육서비스 | 1 | 1 | 7 | 7 | 17 | 17 | 33 | 33 |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2 | 2 | 6 | 6 | 9 | 9 | 25 | 25 |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2 | 2 | 4 | 4 | 17 | 17 | 43 | 43 |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3 | 3 | 8 | 8 | 18 | 18 | 41 | 41 |
T. 가구 내 고용활동, 자가소비 생산활동 | 2 | 2 | 3 | 3 | 3 | 3 | 3 | 3 |
U. 국제 및 외국기관 | 1 | 1 | 1 | 1 | 1 | 1 | 2 | 2 |
21 | 77 | 77 | 232 | 234 | 495 | 501 | 1,196 | 1,205 |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한국표준산업분류 > 소개 > 개요 ]
2025년 3월 18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한국표준산업분류 > 소개 > 개요 ]
2025년 3월 18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
생산 단위의 활동(생산, 재무 활동 등) 통계작성에 필요한 정보 수집 단위
* 생산활동과 장소에 따라 구분함
구분 | 하나 이상 장소 | 단일 장소 |
---|---|---|
하나 이상 산업활동 | 기업집단 단위 | 지역 단위 |
기업체 단위 | ||
단일 산업활동 | 활동유형 단위 | 사업체 단위 |
ㅇ 일정한 물리적 장소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하나의 단일 또는 주된 생산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체 또는 기업체를 구성하는 부분 단위
ㅇ 단일장소에서 동질적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단위로서 산업 분류를 적용한 동질적인 활동별 산업통계를 작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단위
* (사례) 공장, 농장, 상점, 광산, 음식점, 여관, 병원, 학교 등
ㅇ 동일 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 단위
ㅇ 기업체는 하나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업체 단위와 구분됨. 수입, 지출 및 자금관리에 관한 손익계산서 및 대차대조표 등을 유지 ∙ 관리하는 단위로서 재무 관련 통계작성에 가장 유용한 단위임
* (사례) 주식회사, 협동조합, 협회, 단체 등의 법인체와 법인계열을 포함하며, 정부조직도 하나의 기업체로 간주
통계 단위 | 예시 | |||
---|---|---|---|---|
기업집단 단위 | ◇◇◇ 그룹 | |||
기업체 단위 | ㅇㅇㅇ Fire Sens | |||
사업체 단위 | 서울 공장 | 대전 공장 | 대전 영업소 | 세종 AS 센터 |
활동유형 단위 | 제조 | 판매 | 수리 | |
지역 단위 | 서울시 | 대전시 | 대전시 | 세종시 |
1) 사업체가 수행하는 산업활동의 개념
ㅇ 개별사업체의 생산활동은 “주된 활동”, “부차적 활동”, “보조적 활동”이 복합적으로 결합
ㅇ 주된 활동과 부차적 활동의 산출물은 시판용이나 사전에 정하지 않은 기타 용도로 생산하며, 향후 판매나 가공을 위해 비축할 수 있음
ㅇ 보조 활동은 경제주체의 주된 활동이나 부차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
① 주된 활동 (Principal Activity)
ㅇ 다른 경제주체에 판매 또는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 중에서 부가가치 개념으로 ‘수입액’ 또는 ‘매출액’이 가장 큰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활동을 의미
ㅇ 주된 활동 결과로 얻어지는 생산물은 주된 생산품과 부산물임
< 주된 생산품과 부산물의 사례 >
산업 분야 | 주된 생산품 | 부산물 |
---|---|---|
• 철강 산업 | 철강(Steel) | 슬래그(Slag), 고로가스(Blast Furnace Gas) 등 |
• 정유 산업 | 휘발유(Gasoline), 경유(Diesel), 등유(Kerosene) | 아스팔트(Asphalt), 황(Sulfur), 나프타(Naphtha) |
• 제지 산업 | 종이(Paper) | 목재 펄프 찌꺼기(Wood Pulp Residue), 리그닌(Lignin) |
• 목재 산업 | 제재목(Sawn Timber) | 톱밥(Sawdust), 나무껍질(Bark), 우드칩(Wood Chips) |
② 부차적 활동(Secondary Activity)
ㅇ 산업활동에서 부차적 활동(Secondary Activity)이란, 기업이나 조직이 수행하는 주요(주된) 생산활동과는 별도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해당 기업의 주된 산업과 다를 수 있음.
ㅇ 부차적 활동은 본래의 사업을 보조하거나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
< 부차적 활동의 사례 >
산업 분야 | 주된 활동 | 부차적 활동 |
---|---|---|
• 자동차 제조업체 | 자동차 생산 | 자동차 정비 및 수리 서비스 제공, 차량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운영 |
• 농업 | 곡물 재배 | 가축 사육 및 유제품 생산 |
• 호텔 산업 | 숙박 서비스 제공 | 레스토랑 운영, 행사 및 연회장 대관 |
③ 보조적 활동(Ancillary Activity)
ㅇ 보조적 활동이란 주된 활동과 부차적 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을 의미(운송, 저장, 구매, 판매촉진, 수리 등)
ㅇ 보조적 활동은 독립적인 생산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기업 내부에서 원활한 운영을 돕는 기능을 수행.
ㅇ 일반적으로는 기업 내부에서 소비가 되기 때문에 (외부 판매가 목적이 아님) 별도로 분리하여 파악하지 않음, 즉 독립적인 산업으로 분류되지 않음.
< 보조적 활동의 사례 >
• 제조업 공장 내의 물류 및 창고 운영
: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지만, 원재료와 완제품을 보관하고 이동시키는 물류 및 창고 운영이 이를 지원하는 보조적 활동에 해당
• 기업 내부의 IT 및 네트워크 관리
: 사내 시스템 유지보수, 서버 관리, 직원들의 IT 지원 서비스 제공 등은 기업의 원활한 운영을 돕는 역할
• 자체 전력 생산 시설 운영
: 일부 대형 공장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운영하는데, 이 전력 생산은 주된 생산활동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조적 활동
ㅇ 부차적 활동과 보조적 활동의 차이점
부차적 활동 | 보조적 활동 | |
---|---|---|
• (의미) 기업의 주된 생산과 무관할 수 있으며, 외부에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 | • (의미) 기업 내부 운영을 지원하며, 외부 판매가 아닌 내부 소비가 목적 | |
• (예시) 자동차 제조업체가 ‘자동차 정비 서비스(부차적 활동)’를 제공하는 경우 | • (예시) 자동차 제조업체가 ‘자체 생산 공장의 설비 유지보수(보조적 활동)’는 내부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 |
2) 사업체(조사 단위)의 산업 결정 방법
① 사업체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활동’* 특성에 따라 분류 결정
* 주된 산업활동 : 판매 또는 제공되는 각종 재화나 서비스의 유형 중에서 부가가치를 가장 많이 창출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
② 부가가치 측정이 어려운 경우, 매출액, 종사자, 자산, 생산 공정 등을 고려하여 결정
ㅇ 통일적인 분류 사용으로 산업통계의 정확성 및 비교성 확보
* 통계법 제22조(표준분류) 2항
통계작성기관의 장은 통계를 작성하는 때에는 통계청장이 작성 고시하는 표준분류를 따라야 한다.
* 조사의 산업 분류 적용 예시
광업ㆍ제조업통계, 사업체 기초 통계, 도소매ㆍ서비스업 통계, 기타 산업통계 등
ㅇ 인허가, 조세 및 자금지원 등 행정 및 산업정책 관련 법령에서 산업영역을 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음
(160여 개의 법령, 시행령, 시행규칙, 2024년 9월 기준)
* 산업영역을 한정하는데 준용
• 산업 집적 활성화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조업범위
• 소득세법시행령: 사업 범위
• 조세특례제한법: 창업 중소기업과 창업 벤처중소기업 범위
• 중소기업기본법시행령: 중소기업범위(상시근로자 수, 매출액)
• 폐기물관리법시행령: 폐기물 발생 억제 지침준수 의무대상 배출자 범위